인간의 기본적인 성향
인간은 누구나 행복하게 살기를 원하고, 즐겁고 편안하며 만족스러운 삶을 추구합니다. 또한 근본적으로 자신의 잠재능력을 계발하고 발휘하며, 끊임없이 성장하려는 욕구를 지니고 있습니다. 인간의 근본적인 동기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다양한 주장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심리학자 Freud는 성적인 욕구를 가장 근본적인 동기로 보았습니다. 그 외 대상관계 이론가들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형성 욕구를 가장 기본적인 것으로 여깁니다. 또한 자기실현, 자기 초월, 의미 추구 등이 인간의 기본적인 동기라고 보는 견해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동기들은 인간을 움직이는 중요한 욕구이지만, 행복추구라는 근본적인 동기의 하위요소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인간의 궁극적인 행복을 위해서는 이러한 여러 가지 욕구들이 균형 있고 조화롭게 충족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인간은 누구나 편안하고 만족스러운 긍정적인 정서를 지향하는 반면에 불편하고 불쾌한 부정적인 정서는 회피하려고 합니다. 게다가 자신을 좀 더 효율적이고 유능한 존재로 성장시키기 위해 노력합니다. 이러한 노력은 인간이 긍정적인 정서를 좀 더 지속적이고 강렬하게 추구하기 위한 것이기도 합니다. 왜냐하면 자신의 능력을 계발하여 타인 또는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행복하고 만족스러운 삶을 영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성장동기는 과거에 인본주의 심리학자들이 주장한 자아실현 동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결국 쾌락 추구와 성장 추구는 일시적으로는 괴리가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수렴되는 것입니다.
인간이 불행해지는 이유
심리학에서는 인간이 이러한 여러 동기를 효과적으로 추구하지 못하거나, 행복에 대해 부적절한 목표를 설정하고, 잘못된 방법을 통해서 찾기 때문에 불행해진다고 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돈을 많이 벌면 반드시 행복해질 것이라는 가정은 잘못된 생각이라는 것입니다. 소득, 재산에 비례하여 행복지수가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여러 연구 결과에서도 증명되고 있기 때문에 그 주장을 뒷받침합니다. 물론 가난한 상태를 벗어나기까지는 소득이 매우 중요하지만, 그 상태를 넘어서게 되면 소득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며, 물질적인 가치를 지나치게 중시하는 사람들의 행복지수는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서 오히려 낮은 것으로 조사되기도 하였습니다. 긍정 심리학에서는 행복이 효율적인 역할 수행, 삶에 대한 목적의식, 긍정적인 인간관계, 자율성과 자기 수용, 성장에 의한 변화 인식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는 행복한 삶을 위해 적절한 목표를 추구한다고 하더라도, 목표를 실현할 수 있는 접근 방법이 효율적이지 못하면 불행과 좌절의 늪에 빠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 예시로, 친밀한 인간관계를 추구하지만, 지나치게 자기중심적인 방법으로 관계를 맺게 되면 결국에는 갈등과 고립을 초래하는 것처럼 말입니다.
행복관
현대 심리학이 출범한 초기에는 인간의 의식과 행동에 초점을 맞추어 정신장애를 치료하고, 인간 고유의 탁월한 재능과 천재성을 발견하여 육성하는 일을 주로 하였습니다. 그래서 과거 심리학에서는 인간을 내면적 지향성 없이 환경적 영향에 의해 결정되는 존재로 간주하기도 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인간은 타고난 기질, 유년기의 경험에 의해 형성되는 습관적인 행동, 무의식적인 갈등을 답습하면서 살아간다고 가정하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측면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지만, 기본적으로 인간은 자신의 삶을 개선하고, 보다 더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 효율적인 방안을 찾으려고 끊임없이 노력하는 존재입니다.
그렇다면 행복한 삶은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요? 행복은 사람마다 제각각 다른 관점에서 볼 수 있기 때문에 절대적인 정의가 존재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긍정 심리학은 이러한 인간의 긍정적인 측면을 탐구하였습니다. 심리학은 인간의 약점과 장애에 대한 연구에만 국한된 학문이 아니라, 인간의 강점과 덕성에 대한 학문이기도 해야 한다는 견해를 밝히고, 3가지의 행복한 삶의 조건을 제시하였습니다. 첫째는 인간이 개인적으로는 긍정 정서를 많이 경험하는 즐거운 삶을 추구한다는 조건입니다. 다시 말해 과거에 대한 수용과 감사, 현재, 즉 '지금 이 순간'의 체험에 대한 적극적 참여, 몰입의 경험, 도전의식과 낙관적인 기대를 통해 미래에 대해서 긍정적인 감정을 느끼면서 살아가는 것입니다. 둘째, 인간은 일에 몰입하면서 자신의 강점을 발휘하는 적극적인 삶을 추구합니다. 매 순간 삶에서 자신이 추구하는 활동에 열정적으로 몰입함으로써 자신의 잠재력과 강점을 최대한 발휘하며 자아실현을 이루는 삶을 추구하는 것입니다. 셋째, 더 나아가 가족, 직장, 사회를 위해 봉사하고 기여하는 의미 있는 삶을 추구합니다. 인간은 타인과 더불어 사회적 맥락 속에서 사는 존재이기 때문에 이기적인 행복만으로는 진정한 행복을 얻을 수 없다고 보고, 개인과 사회의 밀접한 관계를 중시하는 것입니다. 진정한 행복은 이러한 조건을 바탕으로 강점들을 계발하여 사랑, 일, 육아, 여가 등 일상생활에서 잘 활용하면 행복한 삶의 추구에 더 가까워질 수 있다고 보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인간이 최선의 기능상태에서 인생의 여러 어려움과 역경을 극복하고, 성공적이고 행복한 삶을 영위한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고 그 과정을 중요하게 강조합니다. 더 나아가서 인간의 행복과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모색하고, 그것과 관련된 심리적인 요인을 탐구하게 되는 것입니다.
'긍정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복의 척도를 측정하는 다양한 방법과 고려 사항 (0) | 2023.02.13 |
---|---|
행복의 정의는 무엇이며, 그 정도는 어떻게 측정할까요? (0) | 2023.02.13 |
예전엔 행복이 뭐라고 생각했을까요?-중세, 근대시대, 더불어 20세기까지 (0) | 2023.02.11 |
고대의 행복관-행복에 대한 다양한 관점 (0) | 2023.02.10 |
긍정 심리학이란 어떤 학문일까요?-정의, 연구 주제, 방법, 현황 (0) | 2023.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