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긍정 심리학

향유하기와 행복의 관계

반응형

향유하기, 행복한 강아지 사진

향유하기의 의미

인간은 생활 속의 즐거운 경험들을 통해 행복감을 느낍니다.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서는 실패나 역경을 잘 극복하고 스트레스를 잘 이겨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성공을 잘 즐기고, 즐거움을 잘 음미하며 누릴 수도 있어야 합니다. 여기서 향유하기가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긍정적인 경험을 자각하여 충분히 느낌으로써 행복감이 커지고 지속될 수 있도록 의도적으로 노력을 기울이는 것입니다. 그 어원은 'savor'는 '맛을 보다', '좋은 맛을 느끼다'라는 어원을 지니고 있어서 '음미하기'로 번역하기도 합니다. 우리의 삶 속에서 가족, 음식, 독서, 자연, 오락, 사랑, 유머 등 즐거움을 주는 요인들은 수없이 많이 있습니다. 향유하기는 이러한 요인들을 접하면서 바로 지금 여기, 현재의 순간에 머물며 긍정적인 감정에 주의를 집중하는 것을 뜻합니다. 또한 현재뿐만 아니라 과거에 경험한 사건을 회상하며 즐거움을 이끌어내고, 미래에 경험할 긍정적인 사건에 대해서 기대하면서 행복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긍정적 경험을 향유하는 것은 습관적인 것으로 개인마다 큰 차이가 있어서, 그 차이를 측정하기 위해 향유신념 척도라고 불리는 도구를 이용하고 측정하기도 합니다. 이는 긍정적 경험을 즐기는 능력에 대한 자기 지각을 평가하는 총 24문제로 구성, 과거, 현재, 미래로 나누어 측정한 결과, 대체적으로 향유 경향이 높은 사람일수록 삶의 만족도와 행복도가 높고, 낙관적이고 덜 우울하다는 결론을 도출해 냈습니다. 

향유 경험의 네가지 유형

향유 경험은 어디에 초점을 두느냐에 따라서 세계초점적 향유와 자기 초점적 향유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Bryant와 Veroff ; 2007). 우선 세계초점적 향유는 외부의 대상을 긍정적인 느낌의 원천으로 지각하는 경우입니다. 아름다운 자연의 환경이나 예술 작품을 감상하면서 경이로움을 느끼거나, 호의나 친절을 베풀어준 사람에게 고마움을 느끼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습니다. 그 반면에 자기 초점적 향유는 긍정적인 느낌의 원천을 자기 자신이나 자신의 특정한 측면(성격, 행동, 능력, 육체)에 초점을 맞추는 경우를 일컫습니다. 승진, 자격시험의 합격, 좋은 성적 등과 같은 일종의 성취에 대해 자신의 능력과 그동안 기울인 노력을 스스로 인정하며 기쁨을 충분히 만끽하는 것이 그 예입니다.  또한 향유 경험의 과정은 그 기준을 내향적 분석 여부에 두면 인지적 성찰과 체험적 몰입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인지적 성찰은 긍정적인 느낌을 상위의 관점에서 관찰하고 세분화하며 의미를 부여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체험적 몰입은 상위의 관점에서 관찰하지 않고 긍정적인 느낌에 자신을 스스로 맡기고 심취해서 그 느낌 자체를 충분히 체험하는 것을 뜻합니다. 위에서 이야기한 두 가지 분류 차원, 즉 초점의 방향과 내향적 분석 여부를 모두 고려하여 네 가지 유형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첫째, 감사하기입니다. 자신에게 긍정적인 경험을 제공한 대상에 대해 고마움을 느끼는 것으로, 자신의 행복에 대해서 감사함을 느낌과 동시에 그것에 기여한 사람, 환경에 감사함을 느끼고 표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둘째, 경탄하기입니다. 긍정적 경험에 몰입함과 동시에 그런 경험을 제공한 대상에 대해서 새롭고 놀라운 것으로 느끼며 감동하고 경외감이나 경이로움을 느끼는 것입니다. 예컨대, 산악인이 아주 높은 산의 정상에 올라가서 자연에 위대함이나 경외감을 느끼는 것, 모차르트의 음악에 감동하여 감탄하는 것 등이 있습니다. 셋째, 자축하기입니다. 긍정적 경험과 성취를 스스로 축하, 칭찬함으로써 자긍심을 느끼는 것을 의미합니다. 지나친 겸손과 자기 비하를 행복감을 억제하는 요인으로 여겨, 스스로 충분한 자격을 갖추고 행복을 누릴 수 있는 사람으로 여기는 것을 바람직하다고 봅니다. 넷째, 심취하기입니다. 긍정적 경험에 뒤따르는 신체적인 쾌감과 정서적인 흥분을 세세하게 다각적으로 체험하면서 만끽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긍정적 경험이 심취하기를 통해서 세밀하고 풍부해지며 오랫동안 연장될 수 있다고 보는 것입니다. 대표적인 예가 와인 애호가들이 와인을 마시면서 그 맛과 향에 심취하는 경험을 하는 것입니다.

다양한 방식으로 향유하기

첫째, 다른 사람과 공유하기입니다. 자신의 긍정적 경험을 다른 사람에게 이야기하며 기쁨을 함께 나누는 방법으로, 사회적 지지를 통해서 긍정적인 감정을 증가실 수 있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둘째, 잘 기억해두기입니다. 이는 긍정적인 경험을 시간이 지난 후에도 잘 회상할 수 있도록 자세히 기억해 두거나, 기념이 될 만한 물건을 만들어 보관해 두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즐거운 여행에서 사지을 찍거나 기념품을 모으는 것 등이 잘 기억해 두는 방법을 이용한 향유하기의 일환입니다. 셋째, 자축하기입니다. 이는 긍정적 경험에 대해 자부심을 느끼고 스스로 칭찬하고 축하하는 것입니다. 자축하기는 긍정적인 사건이 주는 인상이 얼마나 깊은지 스스로 되새기며, 그 결과를 위해 노력한 스스로를 격려하고 축하하는 행위입니다. 넷째, 세밀하게 감각 느끼기입니다. 즉 즐거운 경험에 주의를 기울이며 그 상세한 내용, 요소들을 음미하는 것입니다. 다섯째, 비교하기입니다. 다른 사람과의 사회적 비교나 스스로의 과거와 시간적 비교를 하면서 현재 자신의 긍정적인 경험을 충분히 즐기는 것입니다. 예컨대, 과거 힘든 경험이나 불행한 사람들과의 비교를 통해 현재의 자신이 얼마나 행복한지 더욱 실감 나게 느끼는 것이 있습니다. 여섯째, 몰입하기입니다. 주의를 산만하게 하는 요소들은 차단하고 즐거운 경험에만 주의를 기울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소음이나, 방해 요소들을 차단하고 음악감상에 몰입할 때 더 큰 행복과 감동을 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일곱째, 행동으로 표현하기입니다. 즐거움이나 행복을 느끼는 그 순간에 큰 소리로 웃거나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는 등 신체적인 행동으로 표출하는 것을 뜻합니다. 여덟째, 일시성 인식하기입니다. 행복을 느끼는 순간의 소중함을 인식하고 그 경험 자체를 깊이 음미하는 것입니다. 평생의 한 번뿐인 결혼식과 같이 한 번 지나가면 결코 다시 경험할 수 없는 소중한 경험을 만끽하고 즐기고자 노력하면 그 강도도 높아진다고 보는 것입니다. 아홉째, 축복으로 여기기입니다. 긍정적 경험을 할 수 있음에 감사한 마음을 지니고 그 자체를 축복으로 여겨 행복감을 증폭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마지막 방법은 앞서 이야기한 9가지 방법과는 반대로 행복감을 방해하고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즐거움을 해치는 생각하기입니다. 이는 긍정적 경험을 하는 동안 우울감을 유발하고 부정적 사고를 하여 다른 일이나, 더 좋았던 순간을 생각하면서 자책하고 후회하는 것을 뜻합니다. 이처럼 사람마다 향유하는 방식이 다양하고 각기 다르기 때문에 학자들이 일정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는 것입니다.

반응형